지상파방송사업자 재허가 신청서
(시청자 의견청취용 요약문)
2019. 6.
(재)CBS
1 |
방송사업자 일반 현황
□ 개요
o 설립목적
- 기독교적 가치관의 확산 및 인류 문화창달을 목적으로 함
o 운영방향
- 기독교 정신에 근거하여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건전한 여론을 형성하는
한국사회의 공적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역할 수행
- 국민의 생활에 유익한 각종 정보, 교양, 음악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미디어기능 수행
- 언론의 공적책임인 환경감시와 대안 제시를 통해 한국사회의 도의심 향상
및 지역사회 균형발전에 기여하는 방송의 공익성 실현
- 새로운 플랫폼으로의 진출과 콘텐츠 다양화를 통해 방송 산업의 발전을 주도
- 효율적인 조직운영과 윤리경영을 통해 방송업계의 건실한 발전모델로 성장
o 매체현황
- 지상파라디오(AM, 표준FM, 음악FM)
: 전국 14개 네트워크의 전국 방송망을 구축하고 24시간 방송 송출
- TV(크리스천 전문 PP)
: 케이블TV, 스카이라이프 위성TV, IPTV를 통해 전국에 24시간 방송 송출
- 스마트미디어 어플리케이션
: CBS라디오, 노컷뉴스, CBS TV 콘텐츠 제공
- 인터넷(www.cbs.co.kr, www.nocutnews.co.kr)
: CBS 콘텐츠 AOD, VOD 서비스 제공을 포함한 크리스천 포털사이트 기능
: 인터넷 노컷뉴스(www.nocutnews.co.kr)를 통한 종합 뉴스 제공
o 직원현황
- 기자 146명, PD 65명, 아나운서 46명, 엔지니어 73명, 행정직(임원 및
간부포함) 및 기타 252명 ▶ 총 582명 (2019.5.31. 기준)
□ 연혁
1954. 12.15 한국 최초 민간방송으로 라디오방송(AM) 개시
1959. 대구기독교방송(AM 1000kHz), 부산기독교방송(AM 1475kHz) 개국
1961. 광주기독교방송(AM 1000kHz), 이리기독교방송(AM 640kHz) 개국
1980. 11.25 언론통폐합 조치로 낮종합뉴스(11시30분)를 끝으로 보도방송 중단
1987. 10.19 언론통폐합 이후 7년 만에 CBS뉴스, 협찬광고방송 일부 재개
1989. 1. 1 체신부로부터 방송 사항 전반과 광고방송을 허가받음으로써 방송
기능 회복
1990. 6.28 CBS 청주방송 개국 (FM 91.5MHz) - CBS 최초 지역 FM라디오방송국
1992. 12.15 CBS 중앙방송, 양천구 목동으로 사옥 이전
1995. 12.15 CBS 음악FM 개국 (FM 93.9MHz) - CBS 최초 음악FM 라디오방송국
1998. 4.15 CBS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cbs.co.kr) 개설
1998. 12.15 CBS 표준FM 개국 (FM 98.1MHz) - CBS 최초 표준FM 라디오방송국
2002. 3. 7 CBS TV 개국 (채널번호 704, 방송시간 10시간)
2004. 3.30 CBS 울산방송 개국 (FM 100.3MHz) - 13번째 지역 라디오방송국
2005. 3.27 CBS-한국DMB 지상파DMB 사업자 선정
2006. 4.10 인터넷라디오플레이어 “레인보우” 서비스 시작
2011. 2.21 CBS 부산음악FM 개국 (FM 102.1MHz)
2014. 1.14 CBS 창사60주년 비전선포식
2015. 3.11 CBS TV HD전환 송출 시작
2015. 9.14 CBS 24시간 크리스천음악방송 JOY4U 개국
2019. 1. 9 CBS 광주음악FM 개국 (FM 98.1MHz)
□ 대표자 및 편성책임자
구분 | 성명 (직 책) | 생년월일 | 임기 | 주요약력 |
대표자 | 안영진 (재단이사장) | 1952. 09. 14. | ’18. 06. 01. ∼ ’19. 07. 03. | (전) 한신대 법인 재단 이사 (현) 단국대 경영학부 명예교수 |
편성책임자 | 손근필 (미디어본부장) | 1964. 11. 24. | ’17. 09. 15. ∼ 현재 | (전) 편성국 제작부장,편성부장 (전) 편성국 대PD |
2 |
재허가 신청 방송국 현황
□ 재허가 신청 방송국 현황
구분 | 텔레비전 | 라디오 | 합계 | |||||
UHD | DTV | 단파 | AM | 표준FM | FM | 소계 | ||
전체 방송국 | - | - | - | 5 | 5 | 13 | 23 | 23 |
재허가 신청 방송국 | - | - | - | 5 | 5 | 12 | 22 | 22 |
□ 재허가 신청 방송국 세부 현황
방송국명 | 매체구분 | 방송사항 | 주요 방송구역 | 호출부호 | 주파수 |
CBS AM 방송국 | AM | 기독교 전도방송을 중심으로 한 방송사항 전반 및 광고방송 | 서울, 인천, 수원, 안양, 과천, 성남, 안산, 의정부, 고양, 용인, 화성 | HLKY | 837kHz |
CBS 대구 AM 방송국 | 대구, 경산, 고령, 군위, 성주, 청도, 칠곡 | HLKT | 1251kHz | ||
CBS 부산 AM 방송국 | 부산, 거제, 창원, 진해, 김해, 통영, 양산 | HLKP | 1404kHz | ||
CBS 광주 AM 방송국 | 광주, 나주, 장성, 함평, 담양, 영암, 화순, 고창, 순창 | HLCL | 999kHz | ||
CBS 전주 AM 방송국 | 전주, 익산, 군산, 정읍, 김제, 부여, 논산, 서천, 완주, 부안 | HLCM | 1314kHz | ||
CBS 표준FM 방송국 | 표준FM | 기독교 AM방송 프로그램 중계 | 서울, 인천, 수원, 안양, 과천, 성남, 안산, 의정부, 하남, 고양, 용인, 화성 | HLKY-SFM | 98.1MHz |
CBS 대구 표준FM 방송국 | 대구, 경산, 구미, 영천, 군위, 의성, 칠곡, 경주, 김천, 상주, 안동, 성주 | HLKT-SFM | 103.1MHz | ||
CBS 부산 표준FM 방송국 | 부산, 울산, 김해, 진해, 양산 | HLKP-SFM | 102.9MHz | ||
CBS 광주 표준FM 방송국 | 광주, 목포, 나주, 장성, 담양, 함평, 무안, 영암, 영광, 화순, 장흥, 보성 | HLCL-SFM | 103.1MHz | ||
CBS 전주 표준FM 방송국 | 전주, 익산, 군산, 정읍, 김제, 남원, 완주, 임실, 부안, 순창, 고창, 진안 | HLCM-SFM | 103.7MHz |
방송국명 | 매체구분 | 방송사항 | 주요 방송구역 | 호출부호 | 주파수 |
CBS 강릉 FM 방송국 | FM | 기독교 전도방송을 중심으로 한 방송사항 전반 및 광고방송 | 강릉, 동해, 삼척, 양양 | HLCO-FM | 91.5MHz |
CBS 대전 FM 방송국 | 대전, 세종, 계룡, 논산, 금산, 옥천, 청주, 청원, 보은, 영동군 | HLDX-FM | 91.7MHz | ||
CBS 마산 FM 방송국 | 창원, 김해, 거제, 통영, 밀양, 함안, 고성, 창녕, 의령군 | HLCC-FM | 106.9MHz | ||
CBS 순천 FM 방송국 | 여수, 광양, 순천, 고흥군 | HLCL-FM | 102.1MHz | ||
CBS 울산 FM 방송국 | 울산 | HLCD-FM | 100.3MHz | ||
CBS 제주 FM 방송국 | 제주, 서귀포 | HLKO-FM | 93.3MHz | ||
CBS 청주 FM 방송국 | 세종, 청주, 진천, 천안, 청원, 음성, 보은, 괴산, 안성 | HLAC-FM | 91.5MHz | ||
CBS 춘천 FM 방송국 | 춘천, 남양주, 화천, 홍천, 가평, 양평 | HLDC-FM | 93.7MHz | ||
CBS 포항 FM 방송국 | 포항, 경주, 영천, 영덕 | HLCB-FM | 91.5MHz | ||
CBS FM 방송국 | FM (음악FM) | 기독교 선교음악을 위주로 한 음악방송, 설교, 교양 및 광고방송 (보도, 시사해설은 제외) | 서울, 인천, 의정부, 성남, 안양, 과천, 안산, 수원, 용인, 당진, 양주, 옹진 | HLKY-FM | 93.9MHz |
CBS 대구 FM 방송국 | 대구, 경산, 구미, 칠곡, 성주, 고령 | HLKT-FM | 97.1MHz | ||
CBS 부산 FM 방송국 | 부산, 김해 | HLKP-FM | 102.1MHz |
3 |
방송국 운영 실적 및 향후 계획
구분 | 주요 내용 | |
1. 방송의 공적책임· 공정성 실현 | 허가 기간 이행 실적 | 1. 국민화합과 사회발전을 위한 건전한 여론 형성 - 우리 사회의 다양한 여론을 균형있게 수렴하고 국민 통합 비전을 제시하는 토론회 등 편성 - 19대 대선과 6.13 지방선거에서 여론조사 기관인 리얼미터 -CBS 공동 여론조사를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여론 전달 2. 한반도 평화와 생명 존중에 기여 - <남북 정상회담 특집 좌담회>를 통해 평화와 남북화해 통일을 위한 과제를 국민들과 공유 - 심각한 사회문제인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 <생명사랑 캠페인> 진행, 특집 다큐 <자살률의 비밀> 등을 편성 3. 사회의 건강성과 다양성을 확대하기 위한 대중문화 활성화 - <대한민국 소리유산>, <400초 음향다큐, 우리들> 22부작 등 수준 높은 프로그램으로 사회적·문화적 다양성 제고 - 중장년 세대와 젊은 세대, 다양한 계층이 소통할 수 있는 <통해야>, <파주포크페스티벌> 콘서트를 통해 대중문화 활성화 4. 소외계층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과 여론 환기 - <시사자키-갑질타파> 기획릴레이 시리즈를 통해 비 정규직을 중심으로 우리사회 <을>들의 목소리를 대변 - 대구지하철참사, 세월호 등 사회적 재난의 피해유족 들의 문제를 조명하고 대안을 제시한 특집 <남겨진 이들의 선물>로 호평받음 |
향후 5년 간 계획 | 1. 민주시민사회 구현 위한 바른 언론 역할 강화하고 공정방송 실현 - 2020 총선, 2022 대선, 2022년 지방선거 등 관련 특집 보도 및 선거 관련 올바른 정책정보 제공 - 2020년 민주화운동 60년을 맞아 지역의 민주화 역사를 조명하고 민주사회 구현을 위한 기획 발굴 2.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통일 분위기 조성에 기여 - 한반도 비핵화를 통해 평화를 유지하고 나아가 통일의 가치를 전파하는데 기여 3. 다양성이 공존하는 건전 대중문화 활성화 - 세대, 지역, 계층 간 이해와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찾아 가는 음악회, 강연회와 같은 다양한 문화 행사 기획, 소개 |